왜 NTSC는 59.94 Hz의 필드 레이트를 사용했을까?
방송기술을 공부하다 보면 늘 부딪히던 문제가 왜 NTSC, 그리고 그 후손인 ATSC는 59.94 Hz라는 필드 레이트를 사용했냐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흔히 색상 부반송파 신호를 흑백 신호 위에 실어야 하는데, 그러다 보니 뭔가 문제가 생겨서 기존의 60 Hz를 1.001로 나누었다 정도의 설명은 흔히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조금 더 정확히 조...
방송기술을 공부하다 보면 늘 부딪히던 문제가 왜 NTSC, 그리고 그 후손인 ATSC는 59.94 Hz라는 필드 레이트를 사용했냐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흔히 색상 부반송파 신호를 흑백 신호 위에 실어야 하는데, 그러다 보니 뭔가 문제가 생겨서 기존의 60 Hz를 1.001로 나누었다 정도의 설명은 흔히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조금 더 정확히 조...
Luasocket을 mpv 내에서 활용하고 싶었다. subprocess로 FFmpeg을 실행하고, 그 progress를 udp로 받아보기 위함이었다. 그런데 아무리 해도 Luasocket을 mpv에 적용시킬 수가 없어서 각종 시도를 다하던 중, 다음 글을 발견했다. https://github.com/mpv-player/mpv/issues/2009 즉 ...
처음 Jekyll로 블로그를 만들어보았다. 테마는 흔히 쓰이는 Chirpy를 이용했는데, 문제가 생겼다. theme mode 등이 작동하지 않고, assets/dist/home.min.js 등과 같은 파일이 없다고 메시지가 뜨는 것이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은 https://velog.io/@lzlko/github-%EB%B8%94%EB%A1%9C%EA...